본문 바로가기
꿀팁 톡톡

공제 뜻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by 지혜의 숲지기 2024. 10. 30.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는 세금을 줄일 수 있는 중요한 제도이지만, 많은 분들이 둘의 차이를 명확하게 알지 못해 절세의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 글을 통해 공제 뜻과 함께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점, 활용법 등을 알려드리겠습니다. 

공제 뜻

 

1. 공제 뜻

공제사전적 의미로 "뺀다" 라는 의미로 공제라 함은 과세에 있어서 중복과세 등의 부담이나 부담의 불공평을 피하기 위해 중복부분을 계산하여 차액을 빼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세금과 관련된 것으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할 때 "공제" 라는 말을 쓰는데 이 둘의 차이를 잘 알고 있어야 세금을 돌려 받거나 적게 낼 수 있어 절세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점

(1) 소득공제란?

소득공제과세 대상이 되는 소득 금액을 줄여주는 제도입니다. 즉, 소득공제를 받으면 총 소득에서 일정 금액을 제외하여 과세 기준이 되는 금액을 낮추게 되는데요. 이를 통해 세금을 줄일 수 있는 것입니다. 

(소득공제의 예시) 

연 소득이 5천만원인 근로자가 소득공제를 통해 1천만원을 공제받는다면, 과세 대상 소득은 4천만원으로 줄어듭니다.

이후, 세율이 15%라고 가정하면, 원래 내야 할 세금은 750만원(5천만원 X 15%) 이지만, 소득공제를 통해 4천만원이 되므로 최종 세금은 600만원으로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 주요 소득공제 항목 

- 근로소득공제 

- 인적공제 (부양가족 등) 

- 의료비 공제

- 교육비 공제

 

(2) 세액공제란?

세액공제과세 표준이 아닌, 실제 세금에서 공제되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세금이 결정된 후 직접 공제되기 때문에 소득공제보다 절세 효과가 더욱 직관적으로 나타납니다. 

만약, 최종 세금이 1천만원 일 때, 세액공제를 통해 200만원을 공제받는다면 최종 세금은 800만원이 됩니다. 

(세액공제의 예시) 

연 소득이 5천만원이고 소득공제를 거쳐 최종 과세 대상 소득이 4천만원으로 줄어든 후, 세율이 15%인 경우 600만원의 세금이 발생합니다. 

이때, 50만원의 세액공제를 받는다면 최종 세금은 550만원으로 줄어듭니다. 

 

* 주요 세액공제 항목 

- 근로소득 세액공제

- 자녀 세액공제

- 연금계좌 세액공제

- 특별 세액공제(기부금 등) 

 

(3)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의 차이점

구  분 소득공제 세액공제
공제 대상 과세 대상 소득 최종 세금
절세 방식 과세 표준을 줄여 세금 감소 최종 세금에서 직접 공제
절세 효과 세율에 따라 절세 효과가 다름 세율 상관없이 일정한 금액 절감
주요 항목 근로소득공제, 인적공제, 교육비 공제 등 자녀 세액공제, 연금계좌 세액공제 등

 

3.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중 어느 것이 유리할까?

소득 수준과 공제 항목에 따라 유리한 선택이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소득이 높고 과세 표준이 높을수록 세액공제를 통해 더 큰 절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소득이 낮을 경우에는 소득공제를 통해 과세 표준을 낮추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 소득이 높을수록 → 세액공제 

* 소득이 낮을수록 → 소득공제